티스토리 뷰
서론
일단 내가 어떻게 블로글에 포스팅을 많이 해서 사람들이 많이 찾아오면 찢어지게 가난한 내 통장이 그래도 힘을 얻을 수 있지 않을까 싶어서 시작한 애드센스.
이 놈의 애드센스가 갑자기 나한테 이런 빨강 경고를 보내왔다.
ads.txt 파일이 없단다. 그래서 확인해 봤더니
루트 도메인에다가 ads.txt 파일을 만들어 넣으란다.
근데 문제는 내 thereis.xyz 도메인 루트에는 아무런 웹서버도 붙여놓질 않아서 ads.txt 파일이 없다. blog.thereis.xyz는 어찌어찌 티스토리에 붙여놓았지만 이건 루트 도메인은 아니니까.
그래서 어제 부랴부랴 AWS 가입하고 AWS에 EC2 프리티어로 서버를 하나 구축해놓고 thereis.xyz/ads.txt 파일을 하나 만들어서 저장을 해놨는데 24시간이 지나도록 저 경고가 사라지질 않는거다. 그래서 혹시나, 설마 https로 접속할 수 있어야 되는 건가 싶어서 SSL 적용을 하려고 로드벨런서를 붙이고 AWS의 SSL용 인증서를 붙였는데 이게 잘 안되기도 하고 곰곰이 생각해보니 이거 서버 하나만 돌릴건데 궂이 로드밸런서를 붙인다는게 좀 과한 짓 같아보여서 로드밸런서를 삭제하고 Let's Encrypt를 적용하는게 좋겠다 싶어서 적용하려고 보니 내가 앞으로 Let's Encrypt 적용을 하루이틀 하는게 아닌데 할 때마다 검색하는게 짜증이 나서 포스팅을 해 놓는 것이 내 삶을 윤택하게 하는 지름길인것 같아 글을 남기게 되었다.
본론
일단 Let's Encript는 전세계 모든 사이트들이 SSL 인증서를 달아 https 로 보안을 강화하자는 취지에서 시작된 공짜 SSL 인증서를 배포해주는 매우 착하고 좋은 기관이다. 참고로 이야기하면 이 SSL 인증서 개인용으로 어디가서 달려고 하면 10만원은 우습게 주고 셋팅해야한다. 근데 이런걸 공짜로 주다니. 공짜로 준다고 이상한 인증서를 주거나 하지도 않는다.
얘네 서비스를 지원하고 후원하는 회사들이 아래와 같다.
세계의 내놓으라는 대단한 회사들이 이 친구들을 지원하고 있다. 이상한 인증서를 주는 회사가 아니니 걱정하지 말자.
그러면 이걸 어떻게 적용해야하느냐 하면...
일단 내 서버의 OS가 Ubuntu 18.04 버전을 기준으로 적용해보도록 하겠다.
일단 https://certbot.eff.org/ 에 가자.
중간쯤 "My HTTP website is running...." 부분에 자신의 서버 사양에 맞게 상태를 적용하자.
나는 nginx에 ubuntu 18.04로 적용했다. 그러면 어떻게 하라고 지시사항이 나타난다.
저 말대로 따라하자.
$ sudo apt-get update
$ sudo apt-get install software-properties-common
$ sudo add-apt-repository universe
$ sudo add-apt-repository ppa:certbot/certbot
$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install certbot python-certbot-nginx
sudo certbot --nginx
5번 질문의 1번은 리다이렉트 안한다, 2번은 리다이렉트 한다는 뜻이다. 나느 2번을 골랐다. http로 접근해도 https로 돌려서 접속시키는게 속편하니까. 위의 질문들에 대해 적절하게 잘 대답해주면 아래의 축하 메시지를 보여준다.
일단 이렇게 되면 Let's Encript 는 3개월짜리 인증서를 내주고 3개월마다 알아서 갱신해주게 된다. 매우 적절하게 잘 동작하지만 혹시라도 인증서에 도메인을 추가한다거나 설정이 바뀌게 되면 아래의 명령어를 통해 갱신된 설정을 적용하도록 한다고 한다.
$ sudo certbot renew --dry-run
위의 과정을 모두 수행하면 본인의 도메인이 https로 접속하는 걸 확인할 수 있다.
P.S
일단 adsense를 달아서 지난 2년 동안 얼마를 벌었느냐하면...
20달러 벌었다. 오늘은 운이 좋아 0.15달러나 벌었다. 오늘같이 0.1달러 넘게 번 날은 수입이 대단히 많은 날이다.
그리고 https를 적용했음에도 저 경고메시지는 없어지지 않았다.
그래서 어떻게 해야하느냐고 메시지를 보냈는데... 답은 언제쯤 올는지 잘 모르겠다.
'Dev > Developmen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안과 관련하여 (0) | 2021.04.02 |
---|---|
MySQL Cannot truncate a table referenced in a foreign key constraint (0) | 2019.06.17 |
동기와 비동기에 대하여(About Synchronous and Asynchronous) (0) | 2019.04.05 |
- TAG
- https, lets encript, letsencript, ss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