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91. 주파수 분할 다중화 방식(FDM)에서 Guard Band가 필요한 이유는?

이건 일단 FDM의 특성에 대해서 이해하면 바로 알 수 있는 내용이지만 그냥 외워두는게 속 편하다.

 

FDM은 전송로 상의 공통 채널을 더욱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주파수 분할에 의한 다중화 방식을 이야기한다.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에서 여러 신호를 동시에 다중화 전송하는 방식이라고 하는데 간단하게 주파수 대역안에서 여러신호를 보내는 거라고 생각하면 되겠다. FDM의 경우 무선통신에서 전통적으로 사용되어왔던 다중화 방식이다.

 

이런 다중화 방식의 약점은 주파수 대역을 다중화하기때문에 채널의 간섭이 발생한다는 것인데 이를 보완하기 위해 Guard Band가 필요하다.

 

92. X.25 프로토콜의 3계층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X.25의 1계층 [물리계층]

- DTE와 DCE간의 전기적, 기계적, 절차적, 기능적 접속을 다루고 있다.

- 비트 단위들을 교환한다.

 

X.25의 2계층 [링크 멕세스 계층]

- 물리계층의 비트단위의 스트림(연속열)을 받아서 패킷계층에 에러가 없는 데이터를 전해주기 위해 여러 종류의 프레임과 이를 처리하는 절차를 규정

- 프레임 구조나 에러제어 및 흐름제어 절차는 HDLC 프로토콜에 기반을 두고 있음

 

X.25의 3계층 [패킷 계층(네트워크 계층)]

- 연결지향성(Connection Oriented) 통신개념에 기초한 가상회선을 지원

- 가상회선의 종류 : PVC및 SVC가 있음

- 여러개의 망접속을 하나의 데이터 링크 위에 다중화 시킬 수 있다. 한편, 다중화 된 각각의 태널은 논리채널(Logical Channel)이라 부른다.

- 흐름제어 방식으로는 Sliding Window 프로토콜이 사용됨(https://blog.thereis.xyz/125 의 89번 문제 "Go-Back-N ARQ" 참고)

 

그러면 레코드 계층이 정답이 되시겠다. 그런건 OSI 7계층에도 없다.

 

93. 최초의 라디오 패킷(Radio packet) 통신방식을 적용한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은?

이건 상식으로 외워두자 ALOHA가 정답

 

DECNET은 지금은 컴팩(Compaq)사로 흡수된 DEC(Diginal Equipment Corp.)사가 개발한 프로토콜세트를 이야기한다.

SNA는 Systems Network Archetecture)로 IBM에서 발표한 시스템간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아키텍처를 이야기한다.

KMA는 대한민국 기상청인가???

 

ALOHA는 Additive Links On-line Hawaii Area 로 무선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를 최초로 공개 입증한 컴퓨터 네트워킹 시스템이다. 하와이 대학교에서 개발했다.

 

94. 100BASE T라고도 불리는 이더넷의 고속버전으로 CSMA/CD 방식을 사용하며, 100Mbps의 전송 속도를 지원하는 이더넷은?

자, 이 문제도 사실 말장난이다.

 

일단 Thick과 Thin은 탈락. 틱과 얇은 이더넷은 뭔가 말이 안되잖아.

그러면 Fast와 Gigabit가 남았는데 Gigabit가 되려면 1000Mbps가 되어야하니 탈락.

남는건 Fast밖에 없다.

 

Fast Ethernet 정답.(느낌은 아닌 것 같지만)

 

95. 하나의 정보를 여러 개의 반송파로 분할하고 분할된 반송파 사이의 주파수 간격을 최소화하기 위해 직교 다중화해서 전송하는 통신방식으로, 와이브로 및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등에 사용되는 기술은?

이놈의 주파수 문제는 문제부터 어려워서 문제부터 통째로 외우는게 속편한 문제다.

무슨 말이 이렇게 어려운지;;

보기를 하나씩 알아보면 정답을 찾을 수 있겠지.

 

TDM(Time Division Multiplexing): 시분할 다중화 방식은 시간 분할 된 여러 사용자 타임슬롯을 하나로 결합시키는 다중화 방식이다. 

CDM(Code Division Multiplexing): 코드 분할 다중화 방식은 대역확산 기술을 이용해 다중화하는 방식이라고 한다.

OFDM(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xing) :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은 다중 반송파를 이용해 디지털 데이터를 인코딩 하는 방식이다. 와이브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등에 사용된다.

 

IHPS는 검색해보니까 영아기 비후성 유문협착증이라는 질병으로 검색이 되는데 맞는 보기인지는 잘 모르겠다.

 

암튼 정답은 3번 OFDM이 되겠다.

 

96. IP(Internet Protocol) 데이터그램 구조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데이터그램 : 인터넷을 통해 전달되는 정보의 기본 단위

구성요소 : 버전, 헤더길이, 서비스차입, 전체길이, 식별자, 플래그, 단편화 옵셋, 수명, 프로토콜, 검사함, 송신자 IP 주소, 수신자 IP 주소, 옵션

 

각각의 구성요소들마다의 특징들이 있는데 그것은 생략하고 정답을 찾아보면 2번, Reserved Len이 되겠다.

음.. Reserved Len이라고 검색해봐도 뭐가 안나오는데 혹시 예약된 길이(Length)를 말하고 싶었나보다.

 

97. 양자화 비트 수가 6비트면 양자화 계단 수는?

양자화 계단은 2의 양자화 비트 제곱이므로 2의 6제곱인 64가 정답이다.

 

양자화 계단 = 2^(양자화 비트) = 2^6 = 64

 

98. OSI 7계층 데이터링크 계층의 프로토콜로 맞지 않는 것은?

https://blog.thereis.xyz/125여기의 84번을 보면 정답을 알 수 있다.

 

HTTP는 응용계층이다.

 

99. HDL에서 피기백킹(Piggybacking) 기법을 사용하여 데이터에 대한 확인 응답을 보낼 때 사용하는 프레임은?

이건 그냥 외우자 . 피기백킹이라는 내용에 대한 정보는 있으나 사용하는 프레임으로 I-frame을 사용한다는 것 외에 다른 내용은 찾질 못하겠다.

 

이 문제는 그냥 변별용 문제인듯.

 

100. 실제 전송요구가 있는 채널에만 시간 슬롯을 동적으로 할당하여 전송 효율을 높이는 방식은?

시간 슬롯을 동적으로 할당하는 방식은 시분할 다중화 방식이라는 것을 95번 해설의 TDM 에서 설명했다. 정답은 4번 통계적 시분할 다중화 방식이 되겠다.

댓글
댓글쓰기 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