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11. 해싱 테이블의 오버플로우 처리 기법이 아닌 것은?
해싱 테이블 오버플로우를 발생시키지 않기위한 기법으로는 아래와 같다.
[개방 주소법(Open Addressing)]
- 선형 방법(Linear Method) 라고도 함.
- Collision이 발생했을 때 순차적으로 다음 빈 버킷을 찾아 저장.
[폐쇄 주소법(Close Addressing)]
- Overflow된 레코드들을 별도의 Overflow 영역에 저장하고 Chain(Pointer)로 홈 버킷에 연결
- Direct Chaining : 해시표 내의 빈 자리(Cylinder Overflow Area)에 Overflow 레코드를 보관
- Indirect Chaining : 해시표와는 별도의 기억공간(Independent Overflow Area)에 Overflow 레코드를 보관
[재해싱(Rehashing)]
- Collision이 발생하면 새로운 해싱 함수로 새로운 홈 주소를 구하는 방식
정답은 "로그 주소법" 3번이다.
12. 데이터베이스 설계 단계 중 저장 레코드 양식 설계, 레코드 집중의 분석 및 설계, 접근 경로 설계와 관계되는 것은?
"접근 경로 설계"는 물리적 설계에 해당된다.
자세한 내용을 알고 싶다면 https://blog.thereis.xyz/115 11번 문제를 참고 하면 되겠다.
정답은 3번 "물리적 설계"가 되시겠다.
13. 다음 정의에서 말하는 기본 정규형은?
어떤 릴레이션 R에 속한 모든 도메인이 원자값(Atomic Value) 만으로 되어있다. |
이건 1NF. 제 1정규형이다.
이런 내용은 무조건 외워야하는 거라 조금 힘들더라도 그냥 외워두자.
https://blog.thereis.xyz/110 7번 문제를 확인하자.
14. 아래와 같은 결과를 만들어내는 SQL 문은?
이건 뭐 간단하게 SQL을 짜보면 되겠다.
SELECT * FROM '공급자' WHERE '공급자명' LIKE '%신%' |
이렇게 나와있는 걸 보면 1번이 정답이 되겠다.
15. 다음 그림에서 트리의 차수는?
- 노드의 차수 : 노드의 서브트리 또는 노드의 가지수
- 트리의 차수 : 하나의 트리 내에 있는 차수 중에서 가장 높은 값
그러므로 트리의 차수는 3이 되겠다.
정답은 1번! 3이 정답
16. 병행 제어의 로킹(Locking) 단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Locking(로킹)
- 병행제어에서 한번에 로킹할 수 있는 데이터 단위
- 데이터베이스, 파일, 레코드, 필드 등 로킹 단위가 될 수 있음
- 로킹의 단위 크기가 크면 병행 수준이 낮아짐
- 로킹의 단위 크기가 작으면 관리 하기 복잡하여 병행 수준이 높아짐
- 로킹의 단위 크기가 작으면 오버헤드가 증가
정답은 4번! 로킹의 단위 크기가 작아지면 관리하기 복잡해서 병행 수준이 높아진다.
17. 데이터베이스에서 널(NULL) 값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Null은 말 그대로 없는 값이다. 값이 없다는 건 無 라는 의미이지 0이라는 의미가 아니다.
정답은 3번이다.
18. 다음 SQL 문에서 (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UPDATE 인사급여 ( ) 호봉 = 15 WHERE 성명 = '홍길동' |
SET이다. 이건 뭐 해설을 적을 수가 없는게 기본 SQL 문법이라서..
정답은 1번이다.
19. 다음 자료를 버블 정렬을 이용하여 오름차순으로 정렬할 경우 PASS 3의 결과는?
https://blog.thereis.xyz/115 의 16번 보면 바로 알 수 있다.
설명에는 잘 안 써놓았지만 그냥 간단하게 숫자 2개씩 비교하면서 정렬을 하는 건데 뭐 보기에 나온 "9, 6, 7, 3, 5"는 PASS 3이면 정렬이 완료된다.
그러므로 정답은 2번이 된다.
20. 3NF에서 BCNF가 되기 위한 조건은?
정답은 4번. "결정자이면서 후보키가 아닌 것 제거"가 되겠다.
'IT관련 > 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처리기사] 2018년 8월 19일 기출문제 해설 #021 ~ #030 (0) | 2019.07.22 |
---|---|
[정보처리기사] 2018년 8월 19일 기출문제 해설 #001 ~ #010 (0) | 2019.07.21 |
[정보처리기사] 2019년 3월 3일 기출문제 해설 #091 ~ #100 (0) | 2019.07.17 |
[정보처리기사] 2019년 3월 3일 기출문제 해설 #081 ~ #090 (0) | 2019.07.17 |
[정보처리기사] 2019년 3월 3일 기출문제 해설 #071 ~ #080 (0) | 2019.07.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