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HTML과 CSS를 배우면서 나는 잘 몰랐는데 padding과 margin의 차이에 대해서 꽤 많은 사람들이 햇깔려한다는 사실을 최근에 알게 되었다.
"여백이면 여백이지 안쪽 여백은 뭐고 바깥 여백은 뭐냐!"
라며 화를 낼법도 하지만 어떻게 보면 굉장히 디테일한 이런 분류는 보다 멋진 웹 디자인을 구현해 낼 수 있도록 여지를 만들어줬기 때문에 고마워해야 할지도 모른다.
어쨌든 padding과 margin에 대해서 이해하려면 먼저 HTML의 Box Model에 대하여 이해해야하는데 MDN에 보면 잘 나와있다.(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Learn/CSS/Building_blocks/The_box_model#What_is_the_CSS_box_model)
일단 HTML에서 Box의 안과 밖을 나누는 기준은 "Border"가 된다. 이를 기준으로 바깥 여백은 Margin, 안쪽 여백은 Padding이 되겠다. 그리고 Box 배경색은 "Border"까지 채워진다.
여백의 기준과 Box Model은 퍼블리싱 할 때 굉장히 중요하기 때문에 꼭 알아두자.
'Dev > HTML&CSS' 카테고리의 다른 글
:root 가상선택자와 CSS 변수 (1) | 2019.10.18 |
---|---|
#7. Glup로 퍼블리싱 개발환경 만들기 - 최종장 (2) | 2019.05.15 |
#6. Glup로 퍼블리싱 개발환경 만들기 - Assets관리(하) (0) | 2019.05.14 |
#5. Glup로 퍼블리싱 개발환경 만들기 - Assets관리(상) (2) | 2019.05.13 |
#4. Glup로 퍼블리싱 개발환경 만들기 - Watch와 BrowserSync (2) | 2019.05.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