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이트를 개발하는데 있어 우리가 가장 중요하게 알아둬야할 요소 중 하나는 보안이다. 내가 지난 프로젝트들을 수행함에 있어 보안이 숭숭 뚫려있는 사이트를 막아보겠다고 난리를 쳤던 것을 생각하면 정말 아직도 아찔해지는 기억이다. 사실 보안이라는게 외부의 침입을 막고 해커가 마음대로 서버를 헤집어 놓을 수 없도록 하고 만약 침투에 성공했다고 하더라도 서버에 저장되어있는 데이터를 함부로 가져갈 수 없도록 해야하며 만약 가져가더라도 데이터가 암호화 되어있어서 데이터가 무용지물이 되도록 하는 것이 보안인데 개발같은거 잘 모르고 해커 같은거 무서워하는 우리로써는 참으로 배우기 힘든 분야다. 어떻게 시작해야할지, 어떤 책을 봐야할지, 전문적으로 배우려고 학원에 가려고 해봐도 제대로 배울 수나 있을지. 잘 모르겠을 때 ..
안녕하세요. 블로그를 읽어주시는 독자분들. 반갑습니다. 읽어주시는 분들이 많지 않을거라고 생각한 취미삼아 만든 블로그에 거의 1년 넘도록 방치하다 이제 돌아왔더니 많은 댓글들이 남겨져 있어서 큰 감동을 받았습니다. 그간 회사를 그만두고 프리랜서로 일하는 개발자로 프로젝트를 쉴 틈없이 연달아 3개를 진행하게 되면서 블로그에 글을 올릴 생각을 못했네요. 죄송하게 생각합니다. 이전에는 그냥 개발자로 일만 했는데 이제는 TA나 PM 일을 맡기는 바람에 몸이 열개라도 부족한 상황이었어요. 어떤 기술에 대해 결정해야하고 검토해야하고 프로젝트 구성원들에게 컨벤션을 나눠주고 문제들을 해결해주고 방법론을 제시한다는 일이 쉽지 않다는 것을 이번에 매우 많이 깨닫게 되었습니다. 매번 프로젝트 할 때마다 말썽피우고 사고치고 ..

어떻게 만들지, 어떤 패키지를 활용할지 지난 시간에 대충 계획을 세웠으니 이제 프로젝트를 만들어보도록 하자. 폴더를 하나 만들고 거기에 npm init -y 명령으로 package.json 파일을 생성하자. $ npm init -y 이제 당장 생각나는 패키지들을 인스톨 해보자. koa koa-router passport-jwt sequelize $ npm i -save koa koa-router passport-jwt sequelize 이렇게 설치해놓고 생각해보니 로그인 처리를 하려면 POST 방식으로 데이터를 받아야하고, Restful API 주제에 CORS 이슈도 생각을 못한 것이 떠올랐다. 그래서 아래의 패키지들을 더 인스톨 하도록 하자. koa-bodyparser koa-cors2 koa-c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