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ypeScript 라고 들어보았을지 모르겠다. TypeScript는 ECMAScript 6.0(ES6) 이후의 스펙을 기본으로 하여 기존의 Javascript와는 결을 달리하는 언어로 재탄생 되었다.이렇게 한 문장으로 요약하면 "저게 뭔 헛소리임?" 이라고 생각 할 수 있다.일단 Javascript에서는 없었던 DataType이 스펙에 추가되어 TypeScript라고 부른다고 한다.(물론 카더라 통신. 정확한 내용은 확인하지 않았다.) 그리고 Class기능이 탑재가 되어 기존의 prototype이라던지 아니면 그와 유사한 기능을 억지로 구현했던 시절과는 다르게 extends, implements 기능이 제대로 구현이 되었고 컴파일러를 통해 js 파일로 변환한다.(물론 TypeScript를 지원하는 브라..
지난번에 했던건 그저 API 호출을 하면 Hello,World를 뱉어내는 아주 단순한 API를 만들어냈다. 사실 어떤 웹서비스를 만들고 그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꽤 많은 양의 API들이 필요하고 그 API를 정리하는데에 시간을 소모하게 된다. 내가 만약 아주 단순한 서비스를 만든다고 가정했을 때(아직 OAuth를 배우진 않았으니까 OAuth가 없다고 가정하고) 일반적으로 예상할 수 있는 API의 종류는 아래와 같을 것이다. 이메일 중복확인회원가입로그인개인정보 수정패스워드 수정(개인정보 수정에 포함 가능)회원 탈퇴파일 업로드파일 다운로드(다운로드 관련 기능이 별도로 필요하다면)글 쓰기글 수정하기글 삭제하기글 목록 가져오기글 읽기 이 정도 기능이면 아주아주 단순한 게시판 하나 달랑있는 사이트를 만들어 ..
지난시간엔 Spring Boot로 Web 모듈이 탑재된 프로젝트를 만들었다. 이 프로젝트를 만들어 놓고 pom.xml 파일을 열어보자. 아참, 본인의 특별한 능력으로 Gradle로 만든 친구들은 build.gradle 파일을 열어보면 될 것이다. 이 포스팅은 Maven 기반으로 프로젝트를 이끌어 갈 것이라는 것만 알아두면 좋겠다. pom.xml 파일을 열어본 뒤 가장 먼저 해야할 일은 Spring boot의 버전을 바꿔주는 것이다. STS에서 프로젝트를 만들게 되면 Stable 버전으로 1.5.8을 기본셋팅해주는데 이걸 1.5.6 으로 변경해주는 것이 처음 할 일이다. 나중 일이지만 JPA 셋팅을 하고 QueryDSL을 셋팅해서 DB에서 데이터를 들고 올때 EntityManager 객체를 통해서 가져오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