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S 셋팅도 마쳤겠다 Spring Boot 프로젝트를 만드는 방법들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가장 저렴하게 만드는 방법 부터 차근차근 설명해줄텐데, 처음 방법은 굉장히 하드한 방법이다. https://projects.spring.io/spring-boot/ 로 이동해보면 Quick Start를 통해서 설정하는 방법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 방법은 그다지 꽤 저렴하긴 하지만 스마트한 방법이라고 보기엔 어렵다. 물론 CLI를 사용해서 진행하는 방법도 소개하고 있지만 초보자에겐 꽤 난처한 방법임에는 틀림이 없다. 오히려 이런 방법을 이용하느니 Spring Initializr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법을 추천한다. https://start.spring.io/ 로 이동하면 아래의 화면을 볼 수 있다. 여기서 프로젝트..
이번엔 조금 특별하게 Spring에 관련된 이야기를 해볼까 한다.사실 Java 쪽은 잘하는 분들이 워낙 많고 나같이 저렴한 개발을 하는 사람들은 그런 분들의 글을 보며 혜택을 받아쓰면 그만이었는데 요즘(이라고 하기엔 사실 몇 년 지나서 요즘이라고 말하기엔 조금 쑥스러운..) 새로 공부한 Spring boot로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알게된 몇가지 팁들을 공유해보려고 이렇게 글을 올린다. 거두절미하고 Spring boot로 웹 프로젝트를 만드는 것부터 시작하자. 아참, 이 포스팅은 포스팅을 읽는 사람이 기본적으로 JDK 1.8을 설치하고 환경변수 셋팅을 마쳤다는 전제하에 진행된다. 이 이야기가 무슨 이야기인지 모르는 분들은 구글에서 검색하고 셋팅하고 오길 바란다. 일단 STS(Spring Tool Suite..
Table 태그를 쓰다보면 만나는 레이아웃이 하나 있는데 이렇게 뭔가 엑셀에서 사용되는 병합셀이다. 도대체 이걸 어떻게 만들지 "html table 셀 병합"이라고 검색을 해보면 colspan 이나 rowspan을 사용하라고 하는데 뭔소린지 잘 모르겠다면 아래를 참고해주길 바란다. 발급번호 쿠폰명 유효기간 쿠폰종류 쿠폰타입 중복발급 발급개수 상태 등록일 시작일 종료일 일단 완성된 코드를 보자. 우리의 참고 디자인은 thead 부분의 레이아웃이라 thead에서 샘플을 제작했다. th코드에 rowspan="2" 또는 colspan="2"라고 쓴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속성이 어떤 역할을 하느냐 이해하기 전에 row와 column의 차이를 이해해야하는데 row는 우리 말로 "줄"을 의미한다. column은..